코헛 질문
페이지 정보

본문
>
>
> 이름: 궁금이
>
> 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: 하인즈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
>
> 질문하고 싶은 내용:
>
> 21강에서 자기애성 환자에게 개개인이 공감적이고 반영적으로 대응해주긴 어렵지만, 공동체라는 큰 틀에서는 가능하다고 하신 부분이 있는데, 이 부분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.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그리고 나아가 참고할 만한 자료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? 책이나 논문 등 좀 소개해주실 수 있을까요? 감사합니다.
>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네~
반갑습니다.
자기애성 환자에게 개개인이 공감적이고 반영 적으로 대응해줄 수도 있습니다만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일들이지요
공동체가 한 개인을 품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.
예를들어 관심 받고 싶어서 아픈 사람을 구성원들이 돌아가면서 관심을 두고 보살피는 것은 한 개인이 하는 것보다 수월할 겁니다.
또한, 예는 교회공동체에 불만을 품는다던가 아니면 자신 개인의 삶을 사는 것에 고통스러워할 때 집단이 관심을 가지고 기도 해주는 것, 구성원들이 돌아가면서 이야기를 들어 주고 위로를 주는 등의 과정들을 말합니다.
추가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자료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천 드릴 수 없어서 미안한 마음 전합니다.
[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2-07-12 23:13:04 레포트 제출 전용에서 이동 됨]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